-
[재테크] 5가지 금 투자 방법Money$ 2020. 2. 20. 12:47
재테크 중 금투자 방법
현금은 나라마다 그 가치가 다르고,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현금의 가치는 떨어지는 반면,
금은 어느 국가나 비슷한 가치에, 시간이 지날수록 재화의 희소성으로 가치는 더욱 오르게 되는 재화이다.
우리는 보통 금에 투자하라고 하면, 골든바를 떠올린다.
골든바를 구매하고, 쟁겨 두었다가 나중에 가격이 오르면 파는 것만 알고 있는 분들에게,
우선 금 투자는 현물투자와 지수투자로 나눠볼 수 있다.
1. 현물투자
현물투자는 말 그대로 금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이다. 방법으로는 크게 골드바를 구입하는 것과 KRX라는 금시장을 이용하는 2가지 방법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1) 골드바 구입
은행이나 거래소, 금은방에서 골드바를 구입하는 방식.
문제는 수수료이다. 구입할 때 수수료가 5% 붙게된다.
즉, 100만원 금을 사면 5만원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
현물이기 때문에 부가가치세가 붙는다. 이 부가가치세는 10% 이다.
즉, 100만원 금을 사면 총 15만원의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이다.
그러면 금 값이 15%만 오르면 본전을 회수할 수 있을까?
아니다.
팔 때도 구입했을 때처럼 5% 수수료가 또 붙는다.
따라서 20%의 상승을 해야 본전인 것이다.
양도세가 없다는 장점은 있지만, 골드바를 구입하는 금투자 방법은 비추이다.
2) KRX 금시장 이용하기
한국 거래소 금 시장에 가서 금 현물거래를 신청하여 주식 프로그램으로 금을 사고 파는 방법이다.
가격은 시세대로 사는 것이나, 수수료가 0.2% 으로 저렴한 편. 부가세는 없지만, 만약 금으로 찾겠다고 하면 10% 부가세가 붙는다.
이것도 현물투자이기 때문에 양도소득세는 없다.
증권사 금 현물거래 계좌라는 것을 개설해야 하고, 거의 모든 증권사가 되기 때문에, 자주 거래하는 증권소를 이용하면 투자 가능하다.
3) 금 통장 개설하기
보통 기준 가격에서 살 때는 1% 더 비싸게 사야하고, 팔 때는1% 더 싸게 팔아야 한다.
현금이나 금으로 출금 가능하지만, 예금자 보호는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은행 상품이기 때문에 이자소득세가 15.4% 붙는다.
현물 투자 방법 중, 골드바를 실물로 사는건 이미 15% 손해를 보고 사는것이므로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했다.
하지만, 골드바를 현물로 갖고 있으면 전쟁처럼 금융 시스템이 붕괴되는 경우에는 빛을 발휘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다.
하지만 그 확률이 적기 때문에, 거래소를 통한 금 거래가 나은 편이라고 한다.
2. 금 지수 투자
금 지수 투자는 현물이 아닌, 금이 오르고 내리는 수치에 투자하는 것이다.
1) 금 ETF/ETN
우리 나라에는 타이거 골드선물, 코덱스 골드선물, 신한 금 선물의 3가지가 있다.
더 수익을 올리는 방법으로는 레버리지로, 수익률이 2배로 벌어진다고 한다.
수익이 10%면 20% 이지만, 손실 역시 10% 라면 20%가 된다.
수수료는 0.197% 이나, 배당 소득세가 15.4% 발생하고, 환률 헷지(hedge)가 가능해서 환율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금 지수에만 투자를 온전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금 거래는 달러로 계산되는데, 현물투자 같은 경우는 환율헷지 기능이 없기 때문에 환율이 낮을 때 사서 환율이 비쌀때 팔면 환율 이익까까지 볼 수 있다. 따라서 환율이 낮을 때 금을 사서, 환율이 높을 때 파는게 좋다.
2) 금 관련 기업투자
고려아연이라는 회사가 전세계 금광산에 지분을 갖고 있고, 주식이기 때문에 기타 세금이 없다.
현재는 40만원대 주가가 형성되고 있지만, 2008년에는 20만원 정도였다고 한다.
2014년-2017년 3년동안 금 가격은 30% 하락했음에도, 고려아연 주식은 30만원에서 55만원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첫번째, 골드뱅킹
두번째, 금펀드
세번째, 국내 ETF
네번째, 해외 ETF
다섯번째, 금현물1. 골드뱅킹
-어디에서 가입이 가능합니까?
제 1금융권에서 금통장 개설이 가능합니다.-매수는 몇 g부터 가능합니까?
0.01g부터 매수 가능 합니다.-매도, 매수 수수료는 얼마입니까?
매도 시에, 매수 시에 각각 1%씩 수수료가 더 붙음.
(수수료가 생각보다 비싼 편입니다.)-예금자 보호가 됩니까?
아니요,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습니다.-원금 보장은 가능합니까?
아니요, 원금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세금이 발생 됩니까?
네, 수익 발생시 15.4% 배당소득세를 내게 됩니다.-실물 골드바를 인출 할 수 있습니까?
네, 입금된 금을 실물 골드바로 인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물 수수료+ 부가가치세 각각 10%가 나감.
그래서 20%의 수수료를 내야합니다.*금통장을 활용해서 이득을 보려면 최소 20%이상 이득이여야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2. 금펀드
-어디에서 가입이 가능합니까?
증권사에서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주식하는 방식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금을 펀드로 매수 할 수 있는겁니까?
금을 펀드로 매수 한다기 보다는 금을 캐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금 값이 떨어지면 금을 캐는 기업도 같이 펀드가 떨어진다고 보면 됩니까?
네, 맞습니다. 금 값이 떨어지면 금을 캐는 기업도 펀드가 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거의 금값이 오르고, 내리는 것이랑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펀드 할때 매매가 어렵지 않습니까?
매매는 쉬운 편입니다. 주식하시는 분들이면 더 쉬우실겁니다.-금펀드 몇개 알려주실수 있습니까?
금펀드 인터넷에 검색해도 잘 나오지 않아서 궁금하셨을것 같습니다. 블랙록월드골드, IBK골드마이닝, 신한BNPP골드 등 있습니다.-수수료는 어떤가요?
수수료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연 몇% 보수가 발생하나요?
연 1~2% 보수가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펀드마다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습니다.-세금이 발생합니까?
네, 수익을 보게 되면 배당소득세 15.4%를 내게 됨3. 국내 ETF
-국내 ETF는 어디에서 가입이 가능합니까?
증권사에 가시면 됩니다. 주식시장에서 같이 움직임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펀드.-주식시장에서 움직인다면 실시간 거래가 가능합니까?
네, 맞습니다.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합니다.-보수는 비싼 편 입니까?
아닙니다. 저렴한편에 속합니다.
주식형 펀드의 보수는 1~2% 수준입니다.
하지만 국내 ETF는 평균 0.3~0.4% 밖에 되지 않습니다.-현금화는 빠른 편입니까?
네, ETF 같은 경우엔 빠른 편입니다.
일반 펀드는 살때 하루의 시간이 걸립니다.
그리고 판매 할때 4일에서 2주가 걸립니다.
하지만 ETF같은 경우에는 2일 뒤에 현금화 됩니다.-분산투자를 할 수 있습니까?
네,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한번 구매를 할때 10종목 이상을 담아서 구매하게 됩니다. 그래서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4. 해외 ETF
- 해외ETF, 글로벌ETF, 미국ETF 다 다른겁니까?
다 다르다고 볼 수 없습니다. 글로벌 ETF 안에 다 들어 있는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할 것 같습니다.-해외 주식을 할 수 있는데 방법이 비슷합니까?
네, 맞습니다. 해외 주식 시장이랑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외 주식을 하시는 분이라면 어렵지 않게 ETF를 하실수 있으실겁니다.-해외 주식으로 많은 이득을 보면 세금을 내야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맞습니까?
네, 1년 동안 250만원 이상 수익실현을 하게 되면 양도세 22%를 내야합니다.
5. 한국거래소(KRX) 금현물-어디에서 가입이 가능합니까?
증권사에서 금 현물 전용계좌를 만들면 됩니다.-금 몇 g씩 매수가 가능합니까?
한국거래소(KRX) 시장에서 금을 1g씩 살 수 있음.-이것도 증권을 사는 겁니까?
아닙니다. 이것은 실제 금을 1g씩 담는 것입니다.-어느정도 금을 모으면 실물 출고 가능합니까?
네, 맞습니다. 금 실물 출고가 가능합니다.-세금은 얼마를 냅니까?
차익 비과세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매수 수수료는 몇% 정도 입니까?
매수 수수료 0.2% 이하 입니다.
(매수 수수료는 매수시, 매도시 두번 따로 냅니다.)'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세금 계산 (0) 2021.05.14 [MM] [주식] 유가+코스닥+증권상품 (0) 20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