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헥타르와 에이커, 축구장과 야구장 크기로 가늠하기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토지 ϟ ∡ 2021. 11. 5. 12:05
외국을 여행하다보면 헥타르(ha)와 에이커(ac)로 된 표기를 자주 만나게 됩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미터법이나 평(坪) 단위가 아니라서 사실 크기를 짐작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럴 땐 우리가 잘 아는 크기로 대략적인 면적을 추측하는 게 편리합니다.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여의도 크기의 몇배' 식으로 말입니다. 하지만 여의도 면적보다 작은 것도 많으니 이때는 축구장이나 야구장 크기로 가늠해 보는 게 좋습니다. 우선 헥타르부터 보겠습니다. 1헥타르는 100m×100m 입니다. 10,000㎡라는 얘기입니다. 우리가 흔히 써왔던 평이라는 개념으로 보면 1평이 3.3㎡이니 1헥타르는 대략 3,000평입니다. 다음은 에이커입니다. 에이커는 국제 기준인 미터법이 아닌 영국식의 야드-파운드 법에 기초한 단위인데 1에이커..
-
건물은 산, 도로는 물 현대 도시에도 풍수가 있다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토지 ϟ ∡ 2021. 11. 4. 22:18
풍수는 기(氣)다 기업은 건물이든 토지든 어느 정도의 부동산을 가지고 있거나 가지려고 한다. 기업과 관련된 부동산 투자 여부를 결정할 때 손해를 보지 않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각도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한다. 특히 풍수는 터 잡기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기업의 부동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동산과 관련한 풍수의 중요성을 일찍이 깨닫고 이에 관한 공부를 하기 위해서 관련 서적을 찾아본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런데 관련 서적 중에는 초점이 맞지 않는 이야기로 채워져 있어 읽는 사람을 실망시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 사실 기존의 풍수 관련 서적들은 풍수의 전통이론에 얽매어 그 어려운 내용을 설명하느라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양택풍수’니 ‘부동산 풍수’니 하면서도 사실은 ‘묘지풍수’를..
-
임업후계자 되기(귀산촌인 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출처] 임업후계자 되기(귀산촌인 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작성자 비웨이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토지 ϟ ∡ 2021. 11. 4. 17:22
귀산촌인 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첨부 파일의 출처: 2021년 산림사업종합자금 집행지침 전문 으로 huyang.forest.go.kr›kfsweb 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제가 올린 파일은 귀산촌인 창업과 주택구입관련 내용만 추렸습니다. 사업목적: 귀산촌인이 안정적으로 산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창업 및 주거공간 마련을 위한 정착자금을 지원하여 임업인을 확대하고 사유림경영 활성화 도모 삼시세끼 #산촌편 , #자연인 과 같은 미디어를 보다보면 멋진 산촌생활을 꿈꾸고 계신 분께는 기회로 생각 될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국가의 지원을 받는 것은 쉬운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가끔 귀산촌 정부 구입자금이 눈먼 돈이라 생각하고 뛰어 들었다가, 후회하고 빚만 늘고 이러지도 저러..
-
도로의 시공 과정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ACTION ⌂ 경.공매 (A) 2021. 10. 28. 23:47
[도로 시공 과정] 도로는 대체로 다음 세 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시공된다. 첫째 토공, 둘째 구조물 설치, 셋째 표층 공사 등이다. 먼저 지면을 깎아 내고, 산을 끊어 내며 터널을 뚫는다. 그리고 흙을 쌓아올릴 곳과 흙을 메워야 할 곳을 정한 다음 노면을 정리한다. 다음에는 그 위에 물을 뿌리고 굳게 다진 다음 정밀 측량을 하여 도로의 방향을 조정한다. 이것이 보조 기층이며, 보조 기층 위에 기층을 시설한다. 기층은 맨 아랫부분에 굵은 자갈을 깔고 다진 다음, 다시 잔자갈을 깔고 흙을 뿌려 세게 다진다. 이때 배수로와 통로를 설치한다. 그 위에 액체 콜타르를 뿌리고 다진 다음 아스팔트를 눌러 덮는다. [완성된 도로] 완성된 도로는 검은색이며, 그 위에 형광 페인트로 각종 표시를 한다. 이렇게 하여 완성된..
-
등기부등본 보는법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부동산 관련 2021. 10. 14. 09:14
작년 9월에 중소기업 전세자금 대출을 받아 자취집을 구했는데요. 집을 알아보고 다닐 때 주위 사람들로부터 가장 많이 들었던 조언이 ‘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을 잘 살펴봐라!’였습니다. 그런데 등기부등본을 아무리 들여다봐도 이 집이 좋은 집인지, 위험한 집인지는 둘째치고 어려운 용어들을 이해할 수가 없으니 하얀 것은 종이요, 까만 것은 글씨네~ 까막눈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등기부등본에서 볼 수 있는 부동산 기초 용어들을 알아보아요! 등기부등본(등기사항전부증명서)은? 등기부등본이란 ‘부동산에 관한 권리관계 또는 부동산의 현황을 기재하는 장부’(출처: 대한민국 법원 인터넷 등기소)를 말합니다. 즉, 토지나 건물 등 부동산 매물은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해당 매물을 담보로 한 채무는 없는지 등을 기재..
-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방법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부동산 관련 2021. 10. 12. 13:25
간단하게 집을 수리하거나 인테리어 리모델링, 셀프 시공을 하고 난 뒤 발생하는 소량의 건축 폐기물을 함부로 버리면 벌금을 부과 당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특히 철거 작업 후에는 콘크리트나 철근, 목재 등 많은 양의 각종 건축 폐기물들이 발생이 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어떤 방법들이 있을지 알아볼까요? - 무료 수거 신청 TV나 오디오, 냉장고와 같은 폐 가전제품은 주거하는 지역 내 주민센터에서 수수료를 지불하고, 스티커를 부착해야 버릴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4년 4월부터는 대형 폐 가전 제품의 경우 무상 방문 수거 제도가 확대되었습니다. 전국 어디서나 무료로 수거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과 전화, 모바일로도 신청이 가능..
-
정보자격증-기출문제-모음-사이트성장하는 사람๑ (SELF CARE) ★ 2021. 10. 5. 11:46
자격증 사이트에 들어가면은 상단부를 눌러주면 OMR 방식과 전체 문제를 푸는 방식이 있습니다. 문제를 풀면서 같이 답도 볼 수 있고, 기출문제 파일 방식으로도 올려줍니다. 10년치 이상의 문제를 모아놓아져 있기에 매우 유용합니다. 파일 형식 들어가서 문제를 보시면은 한글 파일로 올려놓은 파일이 많이 있습니다. 문제 다운로드해서 사용하셔도 되겠죠? 저도 컴퓨터로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그래도 전 책도 같이 보면서 문제를 많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아래에서 검색해주셔서 찾아주시고 나서 사이트에 들어가셔도 됩니다.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계획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9급 ..
-
토지이음 (토지이용확인원 정리)지역별 지도(MAP) ‽ 2021. 10. 4. 12:45
토지이용계획확인원 열람 정리 부동산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거나 공부하고 싶은 경우는 토지이용계획확인원은 가장 기본이 되는 서류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 땅(이하 땅이라고 합니다)은 꽤 작지만 인구는 너무 많기 때문에 특별한 계획 없이 난개발 이화 한 면이 많습니다. 그 때문에, 정부에서도 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해, 그 일환으로서 용도를 정한 것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용도에 맞지 않는 행위를 막기 위해, 전국의 모든 토지를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 보호 지역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토지이용계획 완전정복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이해하기 풀어 이야기를 해 보면, 사람이 많이 살고 있는 곳은 주거와 관련 건축물을 지게 하고, 공장이 모여 있는 곳은 공업 지역으로 하는 등, 효율적으로 분리..
-
공유지분 총정리HOUSE(주거.부동산.세금.주택.토지) ♧♣/ACTION ⌂ 경.공매 (A) 2021. 9. 29. 18:16
공유지분 [경매의 대상이 되는 공유지분] 1개의 부동산을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민법에서는 이런 공동소유의 유형을 공유, 합유, 총유로 구분하고 있다. 민법상 합유 (동법 제271조), 총유(동법 제275조)와 조합재산 (동법 제704조)은 지분경매의 대상이 아니다. 합유(合有, joint ownership)는 조합재산이나 신탁재산이 여기에 해당되며 이 경우 지분처분의 자유가 없다. 구성원은 재산에 대해 지분을 가지지만, 특정한 공동목적하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분의 양도가 제한되고 조합이나 신탁이 종료될 때까지 물건의 분할청구를 할 수 없다. 총유(總有)는 법인이 아닌 사단의 사원이 집합체로서 물건을 소유하는 형태로서 즉 지분이 없다. 문종, 종중과 같이 여러사람이 하나의 단체를..